2024.06.07 (금)

  • 구름조금속초17.9℃
  • 구름조금14.9℃
  • 구름많음철원15.5℃
  • 구름많음동두천16.3℃
  • 구름많음파주14.1℃
  • 구름조금대관령7.5℃
  • 구름조금춘천14.9℃
  • 박무백령도16.5℃
  • 맑음북강릉15.8℃
  • 맑음강릉20.1℃
  • 맑음동해14.5℃
  • 구름조금서울18.5℃
  • 구름많음인천17.0℃
  • 구름조금원주15.9℃
  • 맑음울릉도16.8℃
  • 구름많음수원15.3℃
  • 구름조금영월13.0℃
  • 맑음충주15.1℃
  • 구름많음서산15.7℃
  • 맑음울진13.0℃
  • 구름조금청주18.8℃
  • 구름많음대전16.2℃
  • 맑음추풍령14.1℃
  • 맑음안동14.0℃
  • 맑음상주15.3℃
  • 구름조금포항17.9℃
  • 구름많음군산15.3℃
  • 맑음대구16.5℃
  • 구름많음전주16.4℃
  • 박무울산15.7℃
  • 맑음창원16.5℃
  • 구름많음광주18.7℃
  • 맑음부산17.6℃
  • 구름조금통영16.4℃
  • 구름많음목포18.8℃
  • 구름조금여수17.9℃
  • 흐림흑산도17.9℃
  • 흐림완도17.5℃
  • 구름많음고창16.0℃
  • 구름많음순천12.5℃
  • 구름많음홍성(예)15.2℃
  • 구름많음15.2℃
  • 비제주19.2℃
  • 흐림고산17.8℃
  • 흐림성산18.1℃
  • 구름많음서귀포19.9℃
  • 구름조금진주14.0℃
  • 구름많음강화16.1℃
  • 구름조금양평16.2℃
  • 맑음이천15.8℃
  • 구름조금인제13.4℃
  • 구름조금홍천14.2℃
  • 구름조금태백8.7℃
  • 맑음정선군12.7℃
  • 구름조금제천12.5℃
  • 구름조금보은14.0℃
  • 구름많음천안14.3℃
  • 구름많음보령14.6℃
  • 구름많음부여14.7℃
  • 구름많음금산13.6℃
  • 구름많음15.4℃
  • 구름많음부안16.0℃
  • 구름많음임실13.0℃
  • 구름많음정읍14.8℃
  • 구름많음남원14.8℃
  • 구름많음장수11.8℃
  • 구름많음고창군14.6℃
  • 구름많음영광군15.6℃
  • 맑음김해시16.6℃
  • 구름많음순창군15.2℃
  • 맑음북창원17.1℃
  • 맑음양산시16.4℃
  • 구름많음보성군16.7℃
  • 흐림강진군17.0℃
  • 흐림장흥16.8℃
  • 흐림해남17.0℃
  • 구름많음고흥15.3℃
  • 구름조금의령군13.8℃
  • 구름많음함양군12.7℃
  • 구름조금광양시16.4℃
  • 흐림진도군17.0℃
  • 구름조금봉화10.0℃
  • 구름조금영주12.7℃
  • 맑음문경13.6℃
  • 맑음청송군9.9℃
  • 맑음영덕12.2℃
  • 맑음의성12.3℃
  • 맑음구미15.5℃
  • 구름조금영천14.9℃
  • 맑음경주시15.4℃
  • 구름많음거창12.1℃
  • 구름조금합천13.7℃
  • 맑음밀양16.1℃
  • 구름조금산청13.4℃
  • 구름조금거제15.3℃
  • 구름조금남해16.5℃
  • 맑음15.5℃
기상청 제공
전북대학교병원 교수팀, 코골이가 녹내장 높인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

전북대학교병원 교수팀, 코골이가 녹내장 높인다

- 이비인후과 김종승, 안과 이태은ㆍ이행진 공동 연구
- 수면무호흡증과 녹내장 발생 상관관계 국제학술지 임상수면의학저널에 게재

전북대학교병원 사진제공 - 이비인후과 김종승, 안과 이태은-이행진 공동 연구.jpg
전북대학교병원 사진제공 - 이비인후과 김종승 (좌) 교수, 안과 이태은이행진 교수

 

[전주=한국복지신문] 윤상현 기자= 전북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김종승, 안과 이태은ㆍ이행진 교수팀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가 녹내장 발생을 유의미하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녹내장의 발생을 높이며, 그 역으로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통해서 녹내장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 논문은 미국 수면의학회에서 발행한 세계적 학술지인 임상수면의학저널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Impact Factor 4.324)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로 인해 산소공급저하, 이산화탄소 배출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수면 리듬이 깨져 수면장애, 피로감, 주간졸음증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 부정맥, 허혈성 심장질환 같은 만성질환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성격변화, 성 충동 감소, 발기부전, 인지기능 저하, 기억력 장애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개방형 녹내장에 대한 연구결과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특히, 녹내장은 시신경에 이상이 생기면서 시야가 점점 좁아지고 결국 시력까지 떨어지는 질환으로, 만성 녹내장은 서서히 진행하는데 조기 진단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실명을 예방하는데 가장 중요하며, 치료받지 않은 녹내장은 서서히 진행해 시야결손과 함께 말기에 이르러 실명하게 된다.

 

따라서, 녹내장 치료의 목적은 진행을 늦춰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며, 이미 손상된 신경은 다시 좋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녹내장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고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아울러, 연구팀은 350만 명의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폐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받은 환자와 진단받지 않은 대조군 환자를 각각 6,369명, 총 12,738명을 나이, 성별, 거주지역, 경제수준과 기저질환을 모두 비슷하게 매칭한 (성향점수매칭; Propensitiy score-matching) 균등 분포 상황에서 12년 간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더불어, 연구 결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 진단받은 그룹에서 개방각녹내장의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그 역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을 치료받은 환자들에게서 개방각녹내장의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떨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덧붙여, 만성 녹내장은 서서히 진행되면서 종래에는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안과적인 중대 질병으로 본 연구진의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코골이ㆍ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녹내장 발생의 위험성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 것이다.

 

한편, 전북대병원 김종승 교수 연구팀은 2020년 2월 국립대학 최초로 의료정보학 교실을 개설했고,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약을 맺어, 의학 분야와 데이터 사이언스와의 접목을 통해 질병 사이의 상관관계 및 병인 규명을 연구하고 있으며, 통계학과 인공지능, 머신러닝에 대한 깊은 연구로 눈부신 연구 성과를 다수 발표해 낸바 있다 (COVID-19의 중증도와 사망률 예측 연구, Influenza and anosmia: Important prediction factors for severity and death of COVID-19, Journal of infection, Impact Factor 38.637 등 다수).

한국복지신문 윤상현 기자 2020nowcom@gmail.com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